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현직 설비 엔지니어

설비 엔지니어의 협업 상대들 – 공정, 시공, 협력사와의 관계

by Drawvalue 2025. 8. 4.

설비 엔지니어의 협업 상대들

– 설비 엔지니어에게는 사내외로 다양한 협업 Point들이 있다. 공정, 시공, 협력사등 과의 관계에 대해 말해 보겠다.

설비 엔지니어의 협업

1️⃣ 설비 엔지니어는 혼자 일하지 않는다

설비 엔지니어의 가장 중요한 역량 중 하나는 '협업 능력'이다. 반도체 장비는 단순히 반입만으로 끝나지 않는다. 장비가 실제로 가동되기까지는 수많은 프로세스와 관계자가 얽혀 있다. 내가 일하는 글로벌 장비 제조사의 현장만 해도, 매일같이 다양한 부서 및 협력사들과 일정 조율, 설치 조건 협의, 인력 배정 등을 진행한다. 설비 엔지니어는 단순한 기술자라기보다, 이해관계자 간의 조율자이자 현장의 연결자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협업이 원활하지 않으면 프로젝트 일정이 지연되거나, 예기치 못한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

2️⃣ 공정팀과의 협업 –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맞춰가기

Fab 내부에는 수많은 공정팀이 존재한다. 증착, 식각, 세정, 측정 등 각각의 라인에서는 자신들만의 운영 우선순위와 생산 일정이 있다. 설비 엔지니어는 새로운 장비를 들이거나 교체할 때 반드시 해당 공정팀과 긴밀히 협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장비 설치 시간대나 반입 경로, 배관과 배선 조건 등이 기존 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조율해야 한다. 때로는 공정팀의 요청이 장비 제조사의 표준 스펙과 충돌하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 중간에서 기술적 판단과 절충안을 제시하는 것도 설비 엔지니어의 몫이다. 실무에서는 단순히 지시를 따르기보다, '왜 그런 요구가 나오는지'를 이해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3️⃣ 시공팀 및 유틸리티 인프라 협력

장비 설치는 단지 장비만 놓는 것이 아니라, 전기, 배관, 공조, 배기 등 복잡한 유틸리티 인프라와 연결되는 작업이다. 이 부분은 전적으로 시공팀과의 협업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평택과 같은 초대형 Fab에서는 수많은 장비가 동시다발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시공팀과 정확한 일정 조율이 없으면 크로스 작업으로 인해 효율이 떨어지고 안전사고까지 발생할 수 있다. 설비 엔지니어는 장비가 요구하는 전기 용량, 질소/DI Water 등의 공급 조건을 문서화하고, 시공팀과 사전 미팅을 통해 설치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현장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유틸리티 연결 문제에 즉시 대응할 수 있는 판단력과 실무 경험이 요구된다.

4️⃣ 협력사와의 유기적 파트너십

설비 엔지니어는 다양한 협력업체와 긴밀히 일한다. 이에는 장비 운송 업체, 설치 전문 인력, 안전관리 대행사, 청소·청정팀 등이 포함된다. 협력사와는 단순히 업무 지시를 내리는 관계가 아니라, 하나의 팀으로 움직여야 일이 원활히 진행된다. 특히 글로벌 장비 회사의 경우 해외 본사 또는 외국 엔지니어들과의 커뮤니케이션도 동반되기 때문에, 통역·문서 정리·현장 대응까지 세심한 역할 분담과 신뢰 관계가 중요하다. 내가 기억하는 사례 중 하나는, 장비 반입 중 갑작스럽게 청정구역 출입 조건이 변경되었을 때였다. 이때 협력사의 기민한 대응 덕분에 일정 지연 없이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이런 사례들은 협력사가 단순 하청이 아닌, 핵심 파트너로서 작동할 때 발생하는 긍정적인 효과다.